지식창고

💰 DSR, DTI, LTV란? 대출 심사의 핵심 개념 완벽 정리!

지식창고지기1 2025. 3. 17. 12:39
728x90

✅ STEP 1: DSR, DTI, LTV란?

DSR 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, Debt Service Ratio)
대출자가 연소득에서 모든 대출(주택담보대출, 신용대출 등)의 원금과 이자를 갚아야 하는 비율
DTI (총부채상환비율, Debt-to-Income Ratio)
연소득 대비 주택담보대출 이자와 원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
LTV (주택담보대출비율, Loan-to-Value Ratio)
주택 가격 대비 대출 가능한 금액의 비율
💡 "대출을 받을 때, 한도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!"

🚀 STEP 2: DSR, DTI, LTV 계산 방법

1️⃣ DSR 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 계산법 🏦

연소득 대비 모든 대출(주택담보대출+신용대출 등)의 원리금(원금+이자) 상환 비율
정부 규제 지역에서는 DSR 40% 이하 제한 (고소득자는 50%까지 가능)
📌 DSR 공식
DSR(%) = (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 ÷ 연소득) × 100
📌 예시
✔ 연소득: 6,000만 원
✔ 연간 대출 상환액(원금+이자): 2,400만 원
DSR = (2,400만 원 ÷ 6,000만 원) × 100 = 40%
💡 "DSR이 높으면 추가 대출이 어려울 수 있음!"


2️⃣ DTI (총부채상환비율) 계산법 💰

연소득 대비 대출의 연간 원금 + 이자 부담을 측정하는 비율
주택담보대출 심사에서 DSR보다 덜 엄격하게 적용
📌 DTI 공식
DTI(%) = (주택담보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 ÷ 연소득) × 100
📌 예시
✔ 연소득: 6,000만 원
✔ 연간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액: 1,200만 원
DTI = (1,200만 원 ÷ 6,000만 원) × 100 = 20%
💡 "DTI는 주택담보대출만 반영, DSR은 모든 대출 포함!"


3️⃣ LTV (주택담보대출비율) 계산법 🏡

부동산 담보 가치 대비 대출 가능 금액의 비율
정부 규제 지역에서는 LTV 4050%, 비규제 지역은 최대 7080% 적용
📌 LTV 공식
LTV(%) = (대출 가능 금액 ÷ 담보 가치) × 100
📌 예시
✔ 주택 가격: 5억 원
✔ 대출 가능 금액: 2.5억 원
LTV = (2.5억 원 ÷ 5억 원) × 100 = 50%
💡 "LTV가 높으면 대출을 많이 받을 수 있지만, 대출 심사도 더 까다로움!"

❓ STEP 3: DSR, DTI, LTV에 대한 궁금증 해결!

🔹 "DSR이 높으면 대출이 어려운가요?"

👉 네! DSR이 높을수록 대출 한도가 줄어듭니다.
✔ 정부 규제 지역에서는 DSR 40% 제한 (일부 고소득자는 50% 가능)
✔ 신용대출, 자동차 할부 등도 포함되어 계산됨
💡 "DSR을 낮추려면 기존 대출을 상환하거나 소득을 늘려야 함!"


🔹 "LTV가 높을수록 대출이 많이 나오나요?"

👉 LTV가 높으면 대출 한도가 커지지만, 규제가 더 강함!
✔ 규제 지역(서울, 수도권)에서는 LTV 4050% 제한
✔ 비규제 지역에서는 LTV 70
80%까지 가능
💡 "LTV가 낮으면 자기자본(현금) 부담이 커짐!"


🔹 "DTI와 DSR의 차이점은?"

👉 DTI는 ‘주택담보대출’만 반영, DSR은 ‘모든 대출’ 포함!
DTI(총부채상환비율) → 주택담보대출 원리금만 고려
DSR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 → 신용대출, 학자금대출, 자동차 할부 등 전부 포함
💡 "DTI보다 DSR 기준이 더 엄격해서 대출 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침!"


🏆 대출 한도, DSR · DTI · LTV가 결정한다!

DSR → 모든 대출(주담대+신용대출)의 원리금 부담을 평가하는 기준
DTI → 주택담보대출 원리금만 반영하는 기준
LTV → 부동산 가격 대비 대출 가능 비율
📅 여러분은 대출을 받을 때 어떤 기준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시나요?
의견을 댓글로 공유해주세요! 😊


🏷 관련 태그

DSR 계산법, DTI 기준, LTV 한도, 주택담보대출, 대출 규제

728x90